[뉴스프라임] '당 창건일' 맞은 북한, 3차 위성발사는 언제?<br /><br /><br />북한이 주요 기념일로 여기는 노동당 창건일을 조용히 보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정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이후 특이 동향이 없는 이유는 무엇일지, 최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북한제 무기를 사용한 정황까지,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과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오늘(10일)은 북한의 노동당 창건 78주년이었습니다. 북한은 노동당 창건일을 '사회주의 명절'로 부르고,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일만큼 챙기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. 북한에서 당 창건일이 가지는 의미부터 짚어주세요.<br /><br />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 집권 10년 동안 전투력과 영도력이 비상히 강화했다고 강조했습니다. 그러면서 "이 10여년이 있어 당의 미래가 확고히 담보됐다"고 자평했는데, 국제사회가 보는 북한의 지난 10년은 어떨까요?<br /><br /> 북한이 이처럼 그간의 성과를 자축하면서도 비교적 차분하게 보냈는데요. 5, 10년으로 꺽어지는 정주년이 아니기 때문인가요? 다른 이유도 있다고 보시나요?<br /><br /> 지난 8월 말, 북한이 정찰위성 2차 발사 실패를 발표하며 "10월 중에 정찰위성 3차 발사를 단행할 것"이라고 예고했죠. 당 창건일에 도발에 나설 거란 관측에 무게가 실렸는데 조용했습니다. 기술적인 문제일까요? 17일 개막하는 중국의 '일대일로 정상포럼'을 의식한 걸까요?<br /><br /> 지난달 열린 북·러 정상회담에선 북한이 러시아에 포탄 등 재래식 무기를 건네주고 북한은 러시아로부터 정찰위성 기술을 지원받을 거라는 관측이 나왔습니다.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이어서 시간이 좀 걸리지 않겠습니까?<br /><br /> 북한이 예고한대로 이 달 안에 정찰위성 3차 발사에 나설까요? 앞서 두 차례 정찰위성 발사에 실패했기 때문에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완벽하다고 판단할 때까지 일정을 미룰 것이란 관측도 나오는데요?<br /><br /> 한미일 해상전력들이 제주 동남방 공해상에서 해양차단훈련과 대해적훈련을 실시했습니다. 3자간 해양차단훈련은 2016년 이후 7년 만에, 대해적훈련은 2017년 이후 6년 만에 재개된 건데, 의미를 짚어주세요.<br /><br /> 해군은 북핵·미사일 위협을 억제하고 대응 능력을 향상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밝혔는데요. 한미 연합훈련에도 예민하게 반응하는 북한이 이번에는 어떨까요?<br /><br />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북한제 무기, F-7 고폭 파편 로켓를 사용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. 북한이 직접 하마스에 건넸을 가능성과 다른 국가에 수출된 무기가 하마스로 흘러 들어갔을 가능성 중 어디에 더 무게를 두시나요?<br /><br /> 한편 북한 노동신문은 오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전쟁을 처음 언급하면서 이스라엘을 비난하는 논조를 보였는데, 반미연대를 강화하려는 의도일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